LOD = Loss On Drying 건조감량
ROI = Residue On Ignition 강열잔분
LOI = Loss On Ignition 강열감량
건조 또는 강열할 때 [항량]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계속하여 1시간 더 건조하거나 강열할 때
전과 후의 칭량차가 전회에 측정한 건조물 또는 강열한 잔류물의 질량의 0.10% 이하일 때를 말하고 생약에서는 0.25% 이하로 한다.
다만, 화학천칭을 사용할 경우 0.5mg 이하
세미마이크로화학천칭을 사용할 경우 0.05mg 이하
마이크로화학천칭을 사용할 경우 0.005mg 이하인 경우 항량으로 간주한다.
저울의 종류 | 읽을 수 있는 최소질량 |
화학천칭 | 0.1mg |
세미마이크로화학천칭 | 0.01mg |
마이크로화학천칭 | 0.001mg |
* 추가설명
향량의 규정은 건조물 또는 강열잔류물 등을 칭량할 때 질량에 변동이 생기는 일이 많아 가급적 변동이 적은 시점까지 건조 또는 강열하고 칭량을 해서 정확한 양을 읽는 것이다. 따라서 항량은 상기한 변동이 없는 시점을 나타내는 조건이며 약속이다. 약전에서는 물질을 일정한 조건(온도, 압력, 건조제등)에 따라 건조 또는 강열을 하면서 어느시점에서 우선 질량을 달아둔다. 다음에 다시 동일 조건에서 1시간 건조 또는 강열을 계속하고 다시 질량을 달아 전후의 칭량차가 건조물 또는 강열한 잔류물의 질량의 0.1% 이하(생약은 0.25%이하)가 되었을 때를 항량이 된 것으로 본다.
* 시험예시
시험 중 위 와 같은 시험을 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칭량병무게 | 10000.0mg(10g) |
칭량병 + Sample 무게 | 11000.0mg(11g) |
건조 후 칭량병 +Sample 무게 | 10999.0mg |
(칭량병 + Sample 무게) - 건조후 (칭량병 + Sample 무게) | * | 100 | = | 0.01% |
(칭량병 + Sample 무게) - 칭량병 무게 |
11000.0 - 10999.0 | * | 100 | = | 0.01% |
11000.0 - 10000.0 |
건조물의 질량이 0.1% 이하로 항량이라고 볼 수 있다.
강열감량 또한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면 된다.
* 강열잔분 시험법의 경우
도가니무게 | 10000.0mg(10g) |
도가니+ Sample 무게 | 11000.0mg(11g) |
강열 후 무게 | 10001.0mg |
강열 후 무게 - 도가니 무게 | * | 100 | = | 0.01% |
(도가니 + Sample 무게) - 도가니 무게 |
10001.0 - 10000.0 | * | 100 | = | 0.01% |
11000.0 - 10000.0 |
남아있는 잔류물의 질량이 0.01%로 항량이라고 볼 수 있다.
건조감량과 강열잔분의 식이 다르니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분석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약전 통칙 31항 용해성 (USP 용해성, USP용해도, 용해도) (0) | 2022.04.05 |
---|---|
대한약전 통칙 22항 (용액의 농도, USP 용액의 농도, 혼합액) (0) | 2022.03.30 |
대한약전 통칙 16항(표준온도, USP표준온도, 상온, 실온, 미온, 냉소, 냉수, 미온탕, 온탕, 열탕, 열용매, 온용매, 수욕에서 가열, 냉침, 온침, 열 에탄올, 온 에탄올) (0) | 2022.03.30 |